□ 안전한 공연 관람을 위한 관람객 행동요령
행동요령 다운로드
*자료제공 : 문화체육관광부
□ 기본 안전 수칙
- · 입∙퇴장 시에는 뛰지 말고 천천히 이동하여야 합니다.
- · 좌석이 지정되지 않거나 서서 공연을 관람하는 등의 경우에는 주변 사람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노력합니다.
- · 공연 관람 중 과도한 움직임으로 인해 다른 사람을 밀치거나 너무 가까이 밀착되면 압사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 · 공연장 내에서는 공연장 관리자의 지시와 안내에 따라 행동을 하여 공연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합니다.
- · 관람객은 공연장 관리자의 안내를 받아 질서 있게 정해진 이동통로의 출입문을 이용하여 입ㆍ퇴장합니다.
- · 공연 시작 전 피난 안내에 집중합니다. 비상시 피난 방법 등 대처방안과 필요한 사항을 안내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또한, 사전에 비상구, 대피통로, 소화기 위치 등을 숙지합니다. - · 의료지원 위치 확인하기, 종합 안내데스크 위치 확인하기, 화장실 이용 시 안내문 등 확인하기, 공연장 내 스태프에게 도움 요청하기
□ 화재 발생시 행동요령
- ① 화재가 발생하면 비상 방송 혹은 화재경보기가 작동합니다.
이때 자리에 있는 개인 물품들을 챙겨서 대피할 준비를 하도록 합니다. - ② 공연장은 좁은 구역에 많은 관객들이 밀집되어 있으므로 관계자의 안내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행동하여야 합니다.
- ③ 당황하여 독단적으로 움직이다 보면 더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피 중에 다시 좌석으로 돌아가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 ④ 앞사람을 밀거나 당기지 말아야 하며, 엘리베이터 탑승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
- ① 지진이 발생하면 즉시 객석 사이에서 몸을 보호해야 합니다.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가방 등을 활용하여 머리를 보호합니다. - ② 관계자의 안내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대피하도록 합니다. 낙하 및 붕괴에 의한 2차 사고 방지를 위해 대피 중에는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지진은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므로, 지진이 잠시 멈췄다고 해서 대피 중 다시 자리로 돌아가지 않도록 합니다. - ③ 안전한 장소로 나왔을 때는 공연장을 함께 방문한 관객을 찾아봅니다.
함께 방문한 관객이 없거나 주변에 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관계자에게 즉시 보고하도록 합니다.
□ 정전 발생시 행동요령
- ① 관계자의 안내가 있기 전까지 제자리에서 대기하도록 합니다. 공연장에는 외부로부터 빛이 차단된 공간이기 때문에 정전이 발생하면 주변이 온통 어둡게 됩니다.
소지하고 있는 핸드폰의 전원을 켜서 주변을 밝혀 마음의 안정을 찾도록 합니다. - ② 관계자의 대피 명령에 따라 공연장 밖으로 이동합니다. 대피 중에는 앞 사람을 세게 당기거나 밀지 않도록 합니다.
핸드폰의 라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진행 경로를 밝히면 안전한 대피에 도움이 됩니다. - ③ 대피 중에 관계자에게 무리한 질문은 하지 않도록 합니다. 정전에 의한 공연 중단은 절차에 따라 환불을 받으실 수 있으므로, 대피 질서 확립을 위해 대피 중에
관계자에게 불만을 표시하지 않도록 협조 요청 드립니다. 궁금한 사항은 대피가 완료되면 외부에 대기 중인 관계자에게 질의를 하도록 합니다.
□ 테러 발생시 행동요령
- ① 테러 폭발물 의심 물품 발견 시 손대지 말고 대피 후 경찰에 신고합니다.
- ② 대피 시에는 반드시 폭발물 반대 방향 쪽 비상계단을 이용해주세요. 엘리베이터는 절대 안 됩니다.
- ③ 폭발시 바닥에 엎드려 양팔 팔꿈치를 붙이고 손으로 귀, 머리를 감싸주세요. 폭발이 종료되어도 연쇄 폭발이 날 수 있어 좀 더 엎드리다가 신속히 대피해주세요.
- ④ 오염공기가 감지되면 손수건, 휴지 등으로 코, 입을 가리고 호흡하세요. 화학 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얼굴 손 등을 깨끗이 씻고 응급치료를 받으세요.
□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
- ① 주변에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없는지 확인해주세요.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은 재난에 취약한 계층이므로 우선적으로 도움을 줘야 합니다.
- ② 동행인은 취약계층을 배려해 사전에 비상상황 시 대처 행동을 정해주세요. 상호 간에 행동요령을 미리 정한다면 상황 발생 시 빠른 대피가 가능해요.
- ③ 공연장 내 전파되는 방송이나 안전요원의 안내 사항에 따르기. 현재 상황을 명확히 인지한다면 나를 포함한 취약계층까지의 안전 확보가 가능해요.
- ④ 비상시 방황하는 취약계층을 발견할 때 주변 사람과 함께 도와주세요. 극도의 불안감과 공포 등으로 패닉 상태에 빠지면 사고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어요.
소관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공연전통예술과 조우신(044-203-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