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진행별 행동요령
① 평소에는 이렇게 대비합니다. 1.1. 산사태 전조 현상을 미리 알아 둡니다.
*전조 현상 : 어떠한 일의 징조로 나타나는 현상
1.2. 집(주택, 건물) 주변을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1.3. 위급한 상황에 대비해 둡니다.
1.4. 비상용품을 준비해 둡니다.
② 산사태 발생이 우려될 때에는
이렇게 대비합니다.
2.1. 여름철 우기 및 태풍(폭풍) 전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2.2. 집중호우 및 태풍(폭풍) 시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스마트산림재난’ 앱, 또는 방송을 통해 산사태 예보발령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합니다.
: 산사태정보시스템(sansatai.forest.go.kr), 스마트산림재난(스마트폰 앱)
* 산사태예측정보 및 기상상황 등을 고려한 자체 상황판단회의 결과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산사태 위험예보(주의보ㆍ경보)를 발령
2.3. 지진 발생 시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③ 산사태 발생 시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3.1. 장소에 따라 이렇게 행동합니다.
3.1.1. 집(산지 인접 주택, 건물)에서 이렇게 행동합니다.
3.1.2. 야영(캠핑) 중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3.1.3. 산행 중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3.1.4. 운전 중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3.2. 대상자에 따라 이렇게 행동합니다.
3.2.1. 어린이와 함께 있을 때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3.2.2. 노약자나 몸이 불편하신 분은 이렇게 행동합니다. ○평소 준비사항
* 안전 취약계층 :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재난에 취약한 사람
④ 산사태 발생 후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4.1. 매몰자나 부상자가 있는지 살펴봅니다.
4.2. 산사태 발생 확인 시, 즉시 신고합니다.
신고합니다.
4.3. 주변 상황을 예의 주시합니다.
4.4. 주변의 피해 상황에 따라 귀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4.5. 추가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지 살펴봅니다.